'마담 보바리'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작가인 귀스타브 플로베르가 1857년에 세상에 공개한 소설입니다. 이 작품은 프랑스 낭만주의 소설의 흐름을 사실주의적인 비극으로 전환시킨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뛰어난 묘사력과 두 주요 인물의 입장 변화를 섬세하게 그려낸 장면이 특히 돋보입니다.
줄거리 및 배경
소설의 핵심적인 줄거리는 실제로 신문에 게재된 사건에서 착안한 것입니다. 이 사건은 유부녀가 불륜을 저지르다가 파산하여 결국 자살한 사건인데, 작가는 이 사건을 소설의 후반부에서 보바리 부인(엠마)의 말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는 엠마가 실제로 불륜을 저지르거나 파산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녀의 이야기를 통해 사회적인 문제를 제기하는 방식입니다. 이 작품은 당시에 심히 큰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특히 당시 사회적 기준으로 보아 상당히 직접적인 성애 묘사와 마차에서 벌어진 정사 장면은 대중의 눈길을 사로잡으면서도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마담 보바리'는 현실에 대한 불만으로 과대망상에 빠져들어 현실과 혼동하는 상태를 뜻하는 "보바리즘(Bovarysme)"이라는 용어를 창조한 철학자 쥘 드 코티에에게 큰 영감을 제공하였습니다.
주인공
소설의 주인공은 의사인 샤를 보바리입니다. 그는 어머니의 강력한 의지에 따라 부유한 미망인과 결혼하지만, 두 사람의 성격과 나이 등이 맞지 않아 결혼생활에서 큰 환멸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던 중 자신의 환인 루올 노인의 딸인 엠마에게 매료되어 그녀와 결혼하게 됩니다. 하지만 엠마는 연애할 때처럼 샤를에게 큰 행복을 느끼지 못하고, 낭만적인 연애에 대한 환상을 품은 사람이었습니다. 엠마는 사교계 생활에 빠져들며 현실에서의 권태를끼기 시작합니다. 그녀는 다른 남자들과 불륜을 저지르고 많은 빚을 지게 됩니다. 결국 재산 압류를 통보받은 엠마는 비소를 먹고 자살 하게 되고, 그로 인해 엠마의 비밀을 알게 된 샤를은 그리움과 분노 속에 화병으로 죽게 됩니다.
작품의 중요성
이와 같은 이야기를 통해 작가는 현실과 상상 속 이상적인 세계 사이에서 갈등하는 인물의 내면을 묘사하면서, 사회적 압박과 여성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그려내었습니다. 이를 통해 《마담 보바리》는 세계 문학의 고전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부 전선 이상없다: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소설 (44) | 2024.02.23 |
---|---|
분노의 포도: 미국 대공황 시절의 농부들이 겪는 가혹한 삶과 사회적 불평등 (58) | 2024.02.21 |
백 년 동안의 고독: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 (150) | 2024.02.15 |
밤으로의 긴 여로: 유진 오닐의 희곡 구성 (137) | 2024.02.14 |
무기여 잘 있거라: 전쟁과 사랑, 그리고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깊은 고찰 (134) | 2024.02.13 |